Trash Flight 만들기(3) – 배경만들기

유니티로 게임을 만들기 위해선 배경이미지가 중요하다. 앞서 Trash Flight 만들기(2)에서 진행한 게임 배경 이미지를 구글에서 다운 받았으니, 유니티에서 실제로 적용하고 세부 설정까지 해보자.

배경이미지 적용방법 2가지 알아보기

1. 이미지를 드래그로 크기조절하기(비추천)

  • 배경이미지를 선택 후 왼쪽 창에 드래그하여 놓으면 이미지가 적용된다.
  • 적용된 이미지를 Alt키를 누른 상태에서 이미지의 모퉁이 부분을 눌러 확대 축소하여 게임화면에 꽉 차게 만들 수 있다.

2. 배경 이미지의 Inspector -> Pixels Per Unit값 변경하기(추천방법)

  • Alt키를 눌러 조절하는 것과 비슷하지만, 이 방법을 통해 만드는 것을 추천한다.
  • 앞서 만단 배경 오브젝트를 삭제 후 하단의 배경 이미지를 클릭한다.
  • 오른쪽에 배경 이미지에 대한 정보가 Inspector에 보인다.
  • Inspector탭에서 Pixels Per Unit 항목에서 값을 100 -> 70으로 변경한다
  • 변경 후 하단에 Apply를 눌러 적용시킨다.
  • 이제 배경 이미지를 클릭하여 Scene 화면에 드래그하여 옮긴다.
  • 아래 이미지처럼 사이즈가 딱맞게 표현이 되는 것을 확인한다.

3. 배경 이름 변경하기

  • Scene 항목에서 방금 넣은 배경 오브젝트를 선택 후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Rename을 선택한다.
  • 이름을 Background로 변경한다.

4. 배경에 대한 스크립트 만들기

  • Assets -> Scripts 폴더 안에서 마우스 우클릭 -> Create -> C# Script를 선택한다.
배경 스크립트
  • 만들어진 스크립트의 이름을 Rename을 통해 Background로 변경한다.
배경 스크립트

5. 게임 실행 버턴을 눌렀을 때 로딩이 걸리는 부분을 처리하기

  • 이름을 변경까지 완료 한 후 게임 실행을 누르면 아래와 같이 로딩이 뜨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 상단 메뉴 중 Edit를 눌러 아래쪽에 Project Settings.. 항목을 선택하여 클릭한다.
  • Editor 화면에서 스크롤을 아래로 내리면 Enter Play Mode Options가 보인다
  • 빈 칸을 클릭하여 v체크 되도록 선택 후 상단에 X를 눌러 창을 닫는다.
  • 다시 게임을 실행하면 로딩이 뜨지 않는 것을 확인 하면 끝이다.

Loading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