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입문] 03. 자료형(data type)

자료형이란 무엇인가? 자료형(data type)은 말 그대로 데이터(자료, data)의 형태(type)을 의미한다. 데이터는 123, abc, 가나다 같이 프로그래밍에 사용하는 값이며, 보통 데이터와 값은 혼용해서 사용하기에 같은 의미를 가진다. 이러한 값을 변수에 담아 사용할 수 있다.

오늘은 숫자 자료형과 문자열 자료형, 불 자료형을 알아보자.

파이썬 입문 자료형

1. 숫자 자료형

정수 실수 음수
수의 분류

우리가 아는 수에는 1,2,3과 같은 정수가 있고, 1.2, 3.14와 같은 실수도 있다. 이처럼 숫자로 된 데이터를 숫자 자료형이라고 한다.

숫자 자료형을 출력을 할 때는 별도의 표시 없이 소괄호() 안에 값을 그대로 넣으면 된다.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와 다르게 파이썬은 명령어 끝에 세미콜론(;)을 붙이지 않는다.

다음을 작성해서 실행해 보자.


print(7)


 

—–실행 결과——
7
——————–

실행을 해 보면 print() 명령어의 소괄호 안에 넣은 정수 7이 터미널 창에 출력이 된다. 아래와 같이 추가로 코드를 작성 해보자.


print(-20)
print(3.14)
print(1000)


 

—–실행 결과——
-20
3.14
1000
——————–

실행하면 소괄호 안에 넣은, 음수인 정수 -20, 실수 3.14, 정수 1000이 출력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숫자 대신 수식을 넣어보자.

→ 프로그래밍에서 사용하는 곱셈(X)과 나눗셈(÷)은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곱셈 기호 : *(애스터리스크, asterisk)
나누기 연산기호 : /(슬래시, slash)


print(5 + 3)
print(2 * 8)
print(6 / 3)
print(3 * (3 + 1))


 

—–실행 결과——
8
16
2.0
12
——————–

2. 문자 자료형

자료형에는 문자열(string) 자료형이 있다. 문자열은 작은따옴표(‘ ‘)나 큰따옴표(” “)로 감싸야 한다.

아래 예제를 작성해 보자.


print(‘풍선’)
print(“나비”)
print(“abcdefg”)
print(“10”)
print(“파이썬” * 3)


 

—–실행 결과——
풍선
나비
abcdefg
파이썬파이썬파이썬
——————–

4번째 줄의 숫자는 큰따옴표로 감쌌기 때문에 숫자가 아닌 문자열로 인식을 한다.

마지막 줄에서는 문자열에 숫자를 곱하기 하여 오류가 발생할 것 같지만 문제없이 3번 연속 출력을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다음 예제를 입력해보자.


print(‘작은따옴표”)
print(“큰따옴표’)


 

—————실행 결과—————–
SyntaxError: EOL while scanning literal
—————————————–

실행결과, 오류가 발생하게 된다. 위와 같이 코드에서 오류가 출력이 되는데 그 이유는 문자를 감싸는 동일한 따옴표의 한쌍이 아니라 작은 따옴표 하나와 큰따옴표 하나를 각각 사용 했기때문에 오류가 발생하게 된다.

문자열에서 작은 따옴표와 큰 따옴표의 차이는 무엇일까? 복잡한 이유는 없다. 단지 선택의 문제일 뿐 다른 점은 없다. 다만 앞 뒤 기호는 꼭 한 쌍으로 맞춰야 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print(“I don’t want to go to school”)
print(‘I don’t want to go to school’)


 

—————실행 결과—————–
SyntaxError: EOL while scanning literal
—————————————–

실행 결과를 보면, 첫 번째 문장에서는 영어문장 중간에 사용되는 작은 따옴표와 겹치지 않기에 오류가 없었지만, 두번째 코드에서 작은 따옴표가 겹치게 되어 오류가 발생하게 되었다. 위의 예제와 같은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사용되어져야 한다.

 

3. 불 자료형

파이썬에서 ‘네‘ 또는 ‘아니요‘ 둘 중 하나의 답이 나와야 할 때
불(Boolean)이라는 자료형을 사용한다.

불 자료형은 코드에서 참과 거짓을 판단할 때 사용하며, 참을 의미하는 True와 거짓을 의미하는 False 값만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음 수식은 참일까? 거짓일까?
5>10
아래와 같이 수식을 바꾸면 참이 된다.
5<10

직접 실행을 해보자.


print(5>10)
print(5<10)


 

—–실행 결과——
False
True
——————–

첫 번째 수식은 거짓이므로 False,
두 번째 수식은 참이므로 True 라고 출력을 한다.

만약 boolean 자료형 값을 그대로 출력을 넣으면 어떻게 될까?


print(True)
print(False)


 

—–실행 결과——
True
False
——————–

boolean 자료형 값을 넣으면 값 그대로 출력이 된다.

다음 문장을 수식 표현해 보자.

5는 10보다 크지 않다.

5<10은 ‘5는 10보다 작다’는 의미라서 앞의 문장과 완전히 같지 않다. 이럴 때 not 이라는 연산자(operator)를 사용 할 수 있다.

not은 값을 부정하는 연산자로 아래와 같이 결과는 출력한다.

True → False
False → True

다음과 같이 코드를 작성해보자.


print(not True)
print(not False)


 

—–실행 결과——
False
True
——————–

not을 사용할 경우 결과가 반대로 나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5는 10보다 크지 않다.’는 코드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not(5>10)

‘5는 10보다 크다’는 것을 부정하므로 ‘5는 10보다 크지 않다’는 뜻이 된다.

실제로 출력하여 결과가 동일한지 확인해 보자.


print(not(5<10)


 

—–실행 결과——
True
——————–

4. 요약 정리

4.1. 자료형

  1. 자료형은 데이터의 형태를 의미한다.
  2. 자료형에는 정수 또는 실수로 이루어진 숫자 자료형, 문자열로 이루어진 문자열 자료형, 참을 의미하는 True와 거짓을 의미하는 False만 값으로 불 자료형이 있다.
  3. 문자열 자료형은 작은 따옴표(‘)나 큰따옴표(“)로 감싸야 한다.
    – 숫자 자료형 : 5, -10, 3.14, 1000
    – 문자열 자료형 : ‘풍선‘, ‘나비, “ 파이썬”
    – 불 자료형 : True, False

파이썬 입문 자료형

 

⇒ 파이썬 설치가 필요한 경우 파이썬 입문 02번 파이썬 개발환경 구축하기를 참고

⇒ 파이썬 홈페이지 https://www.python.org/

⇒ Visual Studio Code 홈페이지 https://code.visualstudio.com/

 

<다른 글 더 보기>

[파이썬 입문] 01. 왜 파이썬 (Python)으로 코딩을 시작하는게 좋을까? 코딩 입문
[파이썬 입문] 02. 파이썬 개발 환경 구축하기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