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애드센스에서 갑자기 상단에 “판매자 정보를 Google sellers.json 파일에 게시하시기 바랍니다.” 라고 알림이 뜬다면 너무 당황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광고 게시에 뭔가 실수를 했는지 혹은 내가 정책을 위반했는가 생각하면 머리가 아파진다. 하지만 걱정할 필요는 없다. 천천히 따라하면 해결이 가능하다.

Table of Contents
‘구글 애드센스 판매자 정보를 google sellers.json 파일에 게시’ 해결 방법
판매자 정보를 goolge seller.json 파일에 게시하라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알아야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전혀 이해할 수가 없을 수 있다. 그래도 구글 애드센스 도움말에 가서 본다면 자세하게 설명은 되어 있지만, 사실 봐도 잘 모를 확률이 크다. 아래 링크를 통해 자세한 내용을 직접 확인이 가능하다.
내용을 간략하게 요약을 하자면, 광고 생태계의 투명성을 높여서 사기 방지를 목적으로 하며, 정보 공개를 하지 않을 경우 투명성 저하로 수익이 저하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컨텐츠를 만드는 제작자 또는 운영자가 누구인지 조회할 수 있도록 함이며, 광고주의 광고가 누구에 의해 송출 되는지 파악 할 수 있도록 정보를 공개하라는 요청이다.
판매자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기(문제 해결 방법)
- 애드센스 계정에 로그인 합니다.
- 계정을 클릭합니다.
- ‘판매자 정보 공개’섹션에서
- 공개를 선택합니다.
- (선택사항) 비즈니스 도메인을 추가하고 확인 및 추가를 클릭합니다.
이름, 도메인(포함된 경우), 게시자 ID가 24시간 이내에 Google sellers.json 파일에 표시됩니다.

판매자 정보 공개 상태는 기본적으로 내부용으로 체크가 되어있는데 이 부분을 공개를 변경 후 아래에 자신의 블로그의 도메인을 넣어주기만 하면 끝이다. 그리고 하루 정도 기다리면 해결이 가능하기에 어렵지 않게 해결이 가능하다.
구글 도움말에서 도메인관련 설명을 보면 루트 도메인만 입력을 하라고 되어있는데 이 부분은 조금 어렵다. 만약 내가 티스토리를 쓰고 있다면, tistory.com을 입력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된다.
이렇게 순차적으로 처리를 했다면 애드센스 판매자 정보 알림은 마무리가 되었다. 24시간이라고 했으니 하루정도 기다리면 해결이 될 것이다.